ARTIST

M'VOID

팀벤겔

M’VOID는 통찰적 사유로 작품 세계를 다져가면서 동시대 미학적 가치에 질문을 던지는 중진 작가와 해외 작가의 전시를 기획하고 선보이는 프로그램입니다.
M’VOID is a program that plans and presents exhibitions of leading artists at home and abroad who question contemporary aesthetic values while strengthening their works with insights.

ABOUT

Tim Bengel 팀벤겔

- 25세에 획기적인 미학 컨셉의 기획으로 유명한 뉴욕의  HG 컨템포러리 갤러리에서 첫 개인전(2017)

- 이탈리아 피렌체 비엔날레에서 Contemporary Art Price 수상(2017)

- Wallstreet International Magazine에 전시 소개(2017)

- 세계적 권위의 미술매체 Artnet에 

   'Striking New Installation in Berlin'(2019), 'An Icon of Our Time'(2021) 제목으로 전시 소개

- 마이애미 아트바젤의 마이애미 아트위크에 출품한 작품가 300만달러의 황금 조각 화제

- 작품 제작 동영상 누적 조회수 4억, 팔로워 50만으로 이 시대 가장 잘 알려진 독일 예술가로 꼽힘

 

 

1991  독일 슈투트가르트 출생

           엘리트 튀빙겐 대학교(Elite University of Tübingen)에서 철학과 미술사 공부

 

개인전

2022  Tim Bengel, GalleryMEME, Seoul, Korea

2021  Who Wants to Live Forever? Context of Berlin Art Week, Germany

2020  Tim Bengel, Galerie Rother, Wiesbaden, Germany

2019  Der Goldjung Sammlung der Kreissparkasse, Esslingen, Germany

2018  Urban Inspiration, Museum of Urban and Contemporary Art, Munich, Germany

2017  MONUMENTS, HG Contemporary Gallery, New York, USA

그외 미국, 캐나다, 프랑스, 이탈리아 등에서의 활발한 전시활동과 다양한 아트페어에 출품​ 

 

 

환상을 지켜내는 것

Keeping the Fantasies

 

영원성과 세속성. 양극단의 두 단어가 겹쳐지는 지점이 있다. 금이다. 황홀한 금빛은 초월적이면서 세속적이다. 신성의 상징이기도, 소유를 좇는 인간욕망의 대명사이기도 하다. 오래전부터 예술가들은 성과 속의 경계에 있는 이 광물의 이중성에 기꺼이 매료되었다.
There is a point where the two extremes of eternity and worldliness overlap: gold. The enchanting color gold is transcendental and worldly at the same time. It is a symbol of divinity as well as a synonym for human greed in pursuit of possessions. From time immemorial, artists have been willingly fascinated by the duality of this mineral on the border of the sacred and secular.

독일의 현대미술가 팀 벤겔(Tim Bengel)은 2021년 12월, 마이애미 아트바젤의 마이애미 아트위크(Miami Art Week/Art Basel Miami)에 3백만 달러짜리 금조각을 선보였다. 전시 기간 동안 경찰의 보호와 미디어의 관심을 한 몸에 받았던 이 작품은 황금 아보카도 토스트였다. 호박씨가 얹혀진 베이글과 토마토, 아보카도 조각 등 27개 부품 모두 18K 금 1,450돈으로 만들어졌다. 3D 프린팅 제작 과정 동영상도 SNS에 공유했다. 대학에서 철학과 미술사를 전공한 젊은 작가가 세상에서 가장 비싼 토스트 재료들 사이에 끼워 넣었을 은유의 조각들에 대한 질문이 쏟아졌다.
Tim Bengel, a German contemporary artist, unveiled a $3 million gold sculpture at Miami Art Week/Art Basel Miami in December 2021. The piece, which was under police protection and great media spotlight during the exhibition, was a golden avocado toast. It is made of about 26 pounds of 18-karat gold with 27 parts including a bagel topped with pumpkin seeds, sliced tomato, avocado, and other toppings. The artist also shared a video on social media showing the process of making this work with 3D printing. There were a flurry of questions about the metaphors that a young artist who majored in philosophy and art history could have sandwiched between the most expensive toast ingredients in the world.


Who Wants to Live Forever?, 금, 2021



“시대 정신을 포착하고 싶었다. 나에게 아보카도는 밀레니얼 세대의 상징 중 하나다.” 팀 벤겔은 MZ 세대로부터 수퍼 푸드로 각광받고 있는 아보카도의 상징성에 주목한다고 말한다. 2020년 미국의 아보카도 수요는 전년 대비 6배 증가했고 부와 지위, 몸매 가꾸기 코드와 맞물린 유행은 유럽 일〮본 러〮시아로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피빛 아보카도(blood avocado)’라는 별명이 암시하고 있는 어두운 현실에 대한 정보는 제대로 드러나지 않는다. 실제 아보카도 생산으로 인한 중남미 지역의 물부족과 환경 파괴, 멕시코 카르텔과 얽힌 문제들은 이 과일의 기름지고 부드러운 풍미를 ‘부패의 맛’이라고 부를 정도로 심각하다. 작가는 이 지점에 대한 질문으로 황금 아보카도 토스트를 세상에 내놓았다. 유리 케이스 속에 모셔진 번쩍이는 점심 메뉴 앞에서 관객들은 대체 왜, 오늘 우리의 삶에, 이런 황금 토스트가 필요한 걸까,에 대한 의문을 떠올리기도 했을 것이다. 그렇게 시작된 의문은 어쩌면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아보카도의 현실을 향해 천천히 확장되어 갔을지도 모를 일이다.

"For me, the avocado is a symbol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and I want to capture the Zeitgeist in this work," Tim Bengel says in an Instagram video. He says that he pays attention to the symbolism of avocados, which have been spotlighted as a superfood by millennials. In 2020, the demand for avocados in the U.S. increased six-fold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nd the taste for the fruit associated with wealth, status, and body shape codes is spreading to Europe, Japan, and Russia. However, the dark reality implied by the nickname "blood avocado" is not fully revealed. Water shortages and environmental disruption in Central and South America as well as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Mexican cartel due to avocado production are so serious that the soft, unctuous flavor of this fruit is called the “taste of decay.” The artist released the golden avocado toast to the world to address this issue. In front of the flashy lunch fare housed in a glass case, the audience must have wondered, "Why do we need this golden toast in our lives today?" This question may have planted a seed, slowly expanding toward the unignorable reality surrounding avocado production.



 

My American Dream, 2017

 

팀 벤겔의 금을 이용한 내러티브는 모래와 함께 시작되었다. 흑백의 모래와 금박을 화면에 붙여 이미지를 완성시켜가는 동영상이 2015년 공개된 이후 누적 조회수 4억을 넘겼다. 작가가 작업 과정을 끝낸 뒤 모래 덮인 화폭을 서서히 일으켜 세울 때, 모래 먼지 사이로 드러나는 이미지를 영상으로 지켜본 이들은 열광했다. ‘My American Dream’은 해질녘 도시에 드리워지는 어둠, 그리고 그 한가운데서 금빛으로 빛나는 초고층 빌딩의 첨탑으로 뉴욕이라는 도시가 품고 있는 거대한 서사와 변함없는 환상을 표현한 작품이다. 웅장한 스케일의 도시 풍경이 마법처럼 드러나는 드라마틱한 영상은 소셜미디어에서 많은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세계를 통틀어 유일무이한 제작 방식과 스타일,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 시대 언어로 영리하게 소통하는 젊은 작가에 대한 관심이 쏟아졌다.

Tim Bengel's narrative using gold began with sand. His video of completing an image by adhering black and white sand and gold leaf to a canvas has over 400 million views since its release in 2015. Viewers of the video were enthusiastic about the image revealed through the sandy dust when the artist slowly raised the sand-covered canvas after he finished the process. My American Dream is a work that expresses the huge narrative and unchanging fantasy of New York City, represented by a skyscraper spire shining in gold in the middle of the darkness that falls over the city at sunset. The dramatic video that magically and on a grand scale reveals the city landscape has garnered a lot of attention on social media. There has been a storm of interest in a young artist who communicates cleverly in the language of his time with a production method and style that is unique in the world.

 

동영상이 입소문을 타기 시작했을 때 작가는 하루 6백 통이 넘는 이메일을 받았다. 애플의 광고제안, 왕실로부터의 구매 요청 등 수천 건의 작품 구매 문의와 전시 요청이 이어졌다. 획기적인 미학 컨셉을 포용하는 기획으로 유명한 뉴욕의 HG 컨템포러리 갤러리에서 2017년 첫 개인전도 가졌다. 작가는 “세계 어느 누구와도 연결될 수 있는 소셜미디어의 개방성으로 기존의 견고한 미술 시스템으로부터 독립할 수 있었고, 예술가의 꿈을 이룰 수 있었다”고 말한다. 하지만 분명한 한계도 짚어낸다. “예술은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도록 열려 있어야 한다. 그것을 SNS가 실현시켜줄 수 있지만 자칫 그 거품에 갇혀버리는 것에 대한 경계도 필요하다. 무엇보다 예술의 실제 경험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When the video began to go viral, the artist received more than 600 e-mails a day. Thousands of purchase inquiries and exhibition requests followed, including advertisement proposals from Apple and purchase requests from royal families. He also held his first solo exhibition in 2017 at the HG Contemporary Gallery in New York, famous for projects that embrace innovative aesthetic concepts. The artist says, “The openness of social media, which connects us with anyone in the world, has allowed me to become independent of the established art system and achieve my dream of becoming an artist.” However, he also points out its obvious limitations, emphasizing, “Art should be open and accessible to all. Social media can make it happen, but you have to be wary of getting trapped in that bubble. The actual experience of art is important above all else.”



 

Graves of Our Generation or FlowerSkullCemetery, gold, marble, flower, white grit, 2019

 

2019년에 베를린에서 발표한 프로젝트는 관객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적극적으로 실험한 공공 미술로 작가가 자신의 대표작으로 꼽는 작품이다. ‘나는 왜 살았나?’ (Why did I live?)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묘비명을 대리석판 100개에 금으로 새겨 꽃 1만 송이와 함께 해골 형태의 묘지 공원을 만들었다. 한밤을 틈타 특수 작전 수행하듯 15명의 조수들과 함께 베를린 장벽터에 작품을 설치하는 과정도 감각적인 동영상으로 만들어 공개했다. 작가가 의도적으로 제목을 붙이지 않은 이 작품은 흥미롭게도 스스로 제 이름을 만들어냈다. 전시 관련 이슈들이 SNS로 퍼지면서 ‘우리 세대의 무덤(Graves of Our Generation)’이라는 제목으로 불려지게 된 것이다. 작품의 본질과 의미를 확장 시켜가는 진정한 주체가 관객임을 또 한번 확인한 경험이었다.

The project he released in Berlin in 2019 is public artwork that actively experimented with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and he considers it representative of his art. He created a skull-shaped cemetery park with 10,000 flowers by engraving various epitaphs in gold on 100 marble slabs, centered on the question "Why did I live?" He made a sensational video showing himself and 15 assistants installing the work on the site of the Berlin Wall in the middle of the night as if carrying out a special operation. This work, which he deliberately did not give a title to, has interestingly coined a name for itself. As issues related to this exhibition spread through social media, it was called Graves of Our Generation. It was an experience that confirmed once again that the true agent expanding the essence and meaning of artwork is the audience.


묘비명들은 ‘그녀에게 키스를 했었어야 했었어 (I should have kissed her)’부터 ‘나는 인터넷에 증오를 퍼뜨렸다. (I spread hate on the internet)’, ‘나는 소비광이었다 (I was a good consumer)’ 와 같이 소셜미디어나 소비에의 집착 등 21세기 삶을 반영하는 메시지들이다. 관객들은 묘비명에 자신의 삶을 대입해 보거나 자신의 존재를 온전히 드러낼 수 있는 텍스트에 대해 고민해 보기도 했을 것이다. 작가는 스스로를 향해 질문하게 만드는 이 사고 실험이 작품의 핵심이라고 설명한다. 묘지라는 공간에서만 길어 올릴 수 있는, 삶과 죽음에 대한 유쾌한 유머와 서늘한 통찰 사이의 이야기들을 아시아 첫 개인전으로 만나게 될 한국 관객들에게 들려주고 싶다고 한다.

The epitaphs are messages that reflect the life of many people in the 21st century, such as obsession with social media and consumption, from "I should have kissed her" to "I spread hate on the internet" and "I was a good consumer." Contemplating the tombstones, the audience may have thought about texts that could reflect their own lives or fully reveal their existence. The artist explains that this thought experiment of making one question oneself is the core of the work. The artist wants to tell the Korean audience, which he will meet in his first solo exhibition in Asia, stories between cheerful humor and gruesome insight about life and death, which can only be brought up from the space of the cemetery.


예술가에게 금은 매혹적인 소재다. 앤디 워홀은 숭배의 대상이 된 대중 아이콘의 배경을 금칠로 가득 채워 공허함을 부각시켰다(‘금빛 마릴린 먼로’, 1962). 마크 퀸은 금으로 제작한 기괴한 신체 조각으로 여성에게 일방적으로 요구되는 비현실적 이미지를 비판했고(‘사이렌’, 2008), 데미안 허스트는 거짓 우상을 향한 인간의 어리석음을 황금 뿔 송아지에 투영시켜 방부액에 담가버렸다(‘황금 송아지’, 2008). 무엇보다 세간의 관심을 불러모았던 작품은 단연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황금 변기 ‘아메리카’(2011)였다. 뉴욕 구겐하임미술관 화장실에 설치되어 전시기간 동안 실제 변기로 사용되었던 이 작품은 미국 자본주의와 아메리칸 드림을 시시껄렁한 농담조로 조롱했다. 물신화된 욕망의 시스템 속 대상을 유쾌하게 비트는 장치로서의 금의 역할은 강력하고 효과적이다.

Gold is a fascinating material for artists. For example, Andy Warhol accentuated blank space by filling the background of adored public icons with gold lacquer (Gold Marilyn Monroe, 1962). Marc Quinn criticized the unrealistic beauty standards forcefully demanded of women with a bizarre body sculpture made of gold (Siren, 2008), and Damien Hirst projected the human folly of worshiping false idols onto a golden-horned calf and immersed it in a formaldehyde solution (The Golden Calf, 2008). Above all, the work that drew the greatest public attention was Maurizio Cattelan's golden toilet America (2011). Installed in the bathroom of the Guggenheim Museum in New York and used as a fully functioning toilet during the exhibition period, this work mocked American capitalism and the American dream with a sarcastic joke. Gold as a device to delightfully twist objects in a system of fetishized desires plays a powerful and effective role.



 

Hollywood, gold on aluminum, 135x135cm, 2018

 


밀레니얼 세대 작가인 팀 벤겔이 금을 바라보는 시각은 다르다. 2018년작 ‘할리우드(Hollywood)’는 금칠 가득한 화면 위에 지명만 올려놓았다. 화려한 도시 풍경도 없다. 할리우드는 그 기표만으로도 수많은 이들의 꿈이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금은 이 도시가 갖는 속물적 세계관을 고스란히 투영하면서 동시에 꿈을 향한 뜨거운 에너지가 되어 화면에 일렁인다. 작가는 꿈을, 환상을, 그 모습 그대로 지켜내고 싶은 것이다. 이 순수한 열망이 금의 이중적 속성을 동시에 품어낼 수 있게 했다. 자신의 홈페이지에 ‘나는 다르게 하고 싶다. (I want to do things differently)’라는 한 문장으로 스스로를 소개하는 이 젊은 작가는 분명 다르고, 그래서 자유로워 보인다.

Tim Bengel, a millennial artist, has a different view of gold. In Hollywood (2018), only the name of the place was depicted on a canvas that was gilded throughout. There are no gorgeous city views because the signifier, the name Hollywood itself, becomes the dream of many people. Here, gold reflects the snobbish worldview of this city as it is, while at the same time shimmering on the canvas like hot energy for dreams. The artist wants to keep the dreams and fantasies as they are. This pure desire made it possible to embrace the dual properties of gold simultaneously. This young artist, who introduces himself in one sentence on his homepage, says, "I want to do things differently", is obviously different, and so he seems free.


 

Immer zu Gast bei Freunden, sand and gold leaf on aluminum, 202 x 135 cm, 2022(2)

 


최근 팀 벤겔의 시선은 사물의 유기적 구조의 관찰과 추상적 표현을 찾아가는 방향으로 확장되어가고 있다. 새로움을 위한 시도는 늘 옳다. 예술가는 멈추면 안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의 세상을 향한 호기심이 더욱 낯선 상상력의 풍경으로 펼쳐지기를, 그리고 그 속에 숨겨져 있을 통찰의 조각들이 금빛으로 빛나기를 기대해본다.

Recently, Tim Bengel's gaze has been expanding toward the observation of the organic structure of objects and the search for abstract expression. It is always right to try something new, because an artist must never stop. I hope that his curiosity about the world will unfold into a more unfamiliar landscape of imagination, and that the pieces of insight hidden in it will shine like gold.

 

-갤러리밈 기획자 김현진Kim Hyunjin


 

 

'37억짜리 황금 베이글'의 비밀…포르쉐도 열광하다

한국경제. 2022.07.14, 김보라 기자

 



2019년 독일 베를린장벽 터엔 1만 송이로 장식된 거대한 꽃무덤이 생겼다. 그 안엔 대리석판 100개와 황금으로 새겨진 묘비명이 빼곡했다. 묘비엔 ‘나는 다른 사람의 삶을 살았다’ ‘나는 소비광이었다’ ‘나는 인터넷에 증오를 퍼뜨렸다’ ‘실패가 나를 만들었다’ ‘그녀에게 키스를 했어야 했다’ 등의 문구가 적혀 있었다.


‘나는 왜 (안) 살았는가(Why did(n’t) I live?)’를 주제로 기획된 이 전시는 SNS를 타고 빠르게 퍼져나갔다. 오직 묘지에서만 길어 올릴 수 있는 삶과 죽음에 대한 통찰, 삶의 단면과 짧은 유머 사이에서 보는 이들은 자신의 일상과 존재에 대해 사유했다.

작품의 주인공은 서른 살의 독일 현대미술가 팀 벤겔(사진). 공공미술부터 황금과 모래로 만들어낸 대도시 풍경, 조각 작품 등 경계 없는 예술을 펼치는 그는 SNS 팔로어 수만 80만 명, 유튜브 조회수 4억 회에 이르는 ‘스타 작가’다. 서울 인사동 갤러리밈에서 아시아 첫 개인전을 열고 있는 그는 “나에게 예술이란 ‘남과 다르지만,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한다. 베를린에 전시됐던 공공미술 작품과 영상 작품, 황금과 모래로 만든 추상 작품 등 27점은 오는 8월 28일까지 한국 관객들을 만난다.

 

벤겔의 작품은 혁신적이다. 재료가 그렇고, 장소가 그렇다. 작품에 담긴 생각은 더 그렇다. 베를린장벽에 대리석 묘비를 만들 땐 15명의 팀과 한밤중에 특수작전을 하듯 작품을 설치했다. 작품을 설치하는 과정, 만들어가는 과정 등은 대부분 영상으로 제작된다. 여러 경로로 바이럴되면서 그의 작품에는 원제와 다른 새로운 타이틀이 따라다닌다. 이 작품 역시 ‘꽃해골묘지(Flower Skull Cementery)’ ‘우리 세대의 무덤(Graves Our Generation)’이라 불렸다. ‘만든 사람’이 아니라 ‘본 사람’들이 붙인 이름이다.


“작품을 만드는 건 작가이지만, 그 작품의 주인은 보는 사람의 몫이라는 것을 증명한 경험이었습니다.” 

 

벤겔은 독일 슈투트가르트의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7세 때 우연히 엄마와 미술관에 갔다가 칸딘스키와 사이 톰블리의 작품 등 추상에 매료됐다. 피카소의 그림을 따라 그리기도 했다. 예술가를 직업으로 택한 건 한참 뒤의 일이다. 대학 땐 철학과 미술사를 공부했고, 첫 직업은 헬스케어 업종의 영업사원이었다. ‘예술가는 배고프다’는 말이 두려워 예술에 대한 꿈을 미루다가 20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작업을 시작했다.

 

- 37억원 황금베이글에 담긴 의미

 

벤겔의 작품엔 시대정신이 담긴다. 하지만 무겁거나 암울하지 않다. 황금과 모래, 추상적 이미지들이 오직 ‘당연한 것들’을 다르게 보는 관점만을 전한다. 스스로를 포함한 많은 이에게 질문을 던지는 게 그의 일이라고 한다.

“너무 많은 메시지를 강하게 주는 것은 반대합니다. 그래서 노골적이고 정치적인 작품은 하지 않아요. 다만 일상에 있는 것들에 대한 좀 더 깊은 생각을 공유하고 인식을 전환하는 게 예술가의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의 대표작 중엔 ‘황금 아보카도’가 있다. 지난해 12월 마이애미 아트바젤의 아트위크에 그는 300만달러(약 37억원)의 황금 아보카도 베이글을 선보여 화제를 모았다. 호박씨가 올라간 베이글 안의 토마토, 아보카도, 각종 채소 등 27개의 부품이 모두 18K 금 1452돈으로 만들어졌다. 벤겔은 밀레니얼 세대가 아보카도에 열광하는 이유를 생각했다.

“시대정신을 포착하고 싶었습니다. 아보카도는 밀레니얼 세대의 상징 중 하나니까요.”

 

아보카도 소비는 부와 지위, 몸매 가꾸기 코드와 맞물려 유럽 일본 러시아로 확산하고 있지만 정작 그 안에 숨겨진 ‘핏빛 아보카도’ 이야기에 대한 고민은 별로 없다는 점이 그를 유혹했다. 이 작품을 통해 아보카도를 유행처럼 대량 소비하고 있는 시대의 모습을 풍자했다. 실제 아보카도 수요가 폭증하며 중남미 지역의 물 부족과 환경파괴 문제는 심각하다. 멕시코 카르텔과 얽혀 ‘부패의 맛’으로도 표현된다. 유리관 속에 진열된 황금 아보카도는 전시 기간 내내 경찰이 지키고 서 있는 풍경을 연출하기도 했다.

 

- 모래와 금의 화가 …SNS가 키웠다

 

그는 작품 안에 흑과 백의 모래, 황금을 주로 쓴다. 영원성과 세속성은 극과 극에 있는 단어. 그 단어 사이의 교집합을 그는 황금이라고 봤다. 영원불멸의 초월적 상징이면서도 소유를 쫓는 인간의 욕망을 표현하는 이중성을 지닌다.


현대미술에서 금은 상징적인 소재였다. 앤디 워홀은 숭배의 대상이 된 대중들의 아이콘 배경을 금으로 칠했고(금빛 마릴린 먼로, 1962), 마크 퀸은 금으로 제작한 기괴한 신체 조각으로 여성에게 강요된 비현실적 이미지를 비판(사이렌, 2008)했다.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황금변기(아메리카, 2011)도 미국의 자본주의와 아메리칸 드림을 조롱했다.

 

벤겔이 금을 가져오는 방식은 다르다. 단순히 풍자와 비판의 상징뿐만 아니라 인간이 가진 본연의 순수한 열망을 나타내는 도구로 등장한다. 히말라야 산에서 채집한 돌을 갈아 만든 모래, 그 위에 황금박을 붙여 만든 뉴욕의 모습은 웅장한 스케일로 사람들을 압도하기도 했다. ‘나의 아메리칸 드림’이라는 이 작품은 가로 405㎝, 세로 247.5㎝에 달한다. 캔버스 위에 돌가루와 황금으로 미세한 작업을 끝낸 뒤 캔버스를 일으켜 세우면 해질녘 도시의 어둠과 그 사이에서 빛나는 초고층 빌딩의 야경이 드라마틱하게 펼쳐진다. 이번 전시에는 양배추의 단면이 황금과 흑백으로 조화를 이룬 추상 작품이 걸렸다.

 

그는 작품 제작 과정을 대부분 동영상으로 남겨 유튜브와 SNS에 공유한다. 짧은 시간 내에 그가 세계적 갤러리와 브랜드로부터 러브콜을 받게 된 이유다. 작품 제작 영상이 쌓이면서 그에겐 애플과 포르쉐 등 글로벌 브랜드의 광고 제안과 유럽 각 왕실로부터의 작품 구매 요청 등이 쏟아진다. 뉴욕 HG컨템포러리 갤러리에서 개인전을 연 것도 SNS를 통해서였다.

“세계 누구와도 연결될 수 있는 소셜미디어의 개방성으로 견고한 미술계의 시스템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었어요. 독립적으로 예술가의 꿈을 이룰 수 있었습니다.”

SELECTED WORK

EXHIB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