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준비 중입니다.
김황록 개인전
Kim Hwangrok
M’cube is a program to discover and support young artists who explore experimental territories with a passion for novelty and challenge their limits.
ABOUT
작가노트
*작품세계의 연속성
-작가는 오랫동안 자연을 motive로 자연과 하나되고자 하는 인간의지를 신선하고 모던한 방식을 통해 여러 양상으로 표현해 왔습니다..
작가는 오랫동안 자연과 인간 그리고 생명에 관한 관심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는 주로 자연을 품은 詩를 통해 작업의 근거에 접근합니다. 그리고 그 시를 조형화합니다. 그의 작품세계의 배경에는 짧은 시 한편이 있습니다.
“사물의 꿈1 나무의 꿈. 정현종
그 잎 위에 흘러내리는 햇빛과 입 맞추며 나무는 그의 힘을 꿈꾸고
그 위에 내리는 비와 뺨 비비며 나무는 소리 내어 그의 피를 꿈꾸고
가지에 부는 바람의 푸른 힘으로 나무는 자기의 생이 흔들리는 소리를 듣는다.”
이 얼마나 아름답고 현대적이며 소통 가능한 언어 구사입니까?
작가는 그 自然事物(나무)의 생명력에 대한 시적 표현을 조각으로 전환 시키고 있는 것입니다.
이는 사물이 인간과 더불어 창출되는 이미지를 통해 인간과 사물이 하나임을 보여줍니다. 인간과 자연은 일면 대립적이지만 결국 하나인 생명구조입니다. 이는 사물과의 동질성과 그것을 통한 생명사상을 말합니다. 즉 사물의 꿈은 사람의 꿈이고 그것들은 생명을 꿈꾸게 합니다. 두 존재의 조화는 생명의 환희를 맛볼 수 있게 합니다. 결국 나무를 보면서 인간을 보기 바랍니다. 그것을 통해 살아있는 모든 존재를 사랑하고 받아들여서 모든 사물을 포용하기 바랍니다.
*작품의 특징
-작품은 자연의 생명성에 대한 작가의 생각을 담고 있습니다. 인간은 나무의 형상을 통해 人間本然을 바라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작품을 품고 있는 공간과 훌륭한 harmony를 이루고 있습니다.
-작가는 작품을 통해 거대담론 보다는 인간본연의 ‘자연 동경의지’를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형태로 조형화하여 자연과 생명가치에 대해 생각하게 합니다.
-작품은 line과 mass, color가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참신하고 모던한 조각으로 밝고 신선한 공간성을 부여합니다.
*금번 전시의 concept
작가는 자연과 인간을 하나의 존재로 인식합니다.
사람들은 살아가면서 항상 평가받고 재단되죠.
그 평가주체는 사회구조 system.
그것을 피할 수는 없습니다. 사회가 발전하는 동력이니까.
하지만 우리는 그 구조에서 벗어나기를 항상 꿈꿉니다.
우리 스스로 만든 구조. 참으로 아이러니한 상황 아닌가요!
인간과 자연이 재단되고 평가되는 현재의 상황을 조각을 매개로 조형화 하였습니다.
김황록 Kim Hwangrok
1961년 서울생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동대학원 졸업
주요 경력사항
개인전
제1회 개인전 (공평아트센터, 1993)
제2회 개인전 (공평아트센터, 1994)
제3회 개인전 녹색갤러리 기획초대 “시인과 화가의 동행전” (녹색갤러리, 1995)
제4회 개인전 모란미술대상 수상 기념전 (모란미술관 기획초대, 모란갤러리, 1996)
제5회 개인전 김종영 조각상 수상 기념전 (김종영 기념사업회 기획, 가나아트센터, 평창동, 2000)
제6회 개인전 (관훈 갤러리, 2005)
제7회 개인전 (두루 아트 스페이스 기획초대, 2007)
제8회 개인전 (Galerie Lumen 기획초대, Paris, France, 2010)
제9회 개인전 (장흥 아트파크 레드 스페이스 기획초대, 2011)
제10회 개인전(고양시 문화재단 어울림누리 미술관, 2019)
제11회 개인전(더리미 미술관, 2020)
제12회 개인전(갤러리 한옥, 2021)
제13회 개인전(갤러리밈, 2025)
주요 단체전
○ 서울 국제 조각FESTA (COEX, 2025)
○ 김해 전국체전 야외조각 특별전(김해종합운동장 야외전시장, 2024)
○ 북서울 꿈의 숲 야외조각전(북서울 꿈의 숲, 2024)
○ 2024 열린 송현 야외조각전(송현 야외공원, 2024)
○ 아시아 현대조각전(후쿠오카 아시아 현대미술관, 2024)
○ 빌라다르2023(예술의 전당, 2023)
○ 한강 2022조각 PROJECT(한강 고수부지 일대, 2023)
○ The Nature (더샵 갤러리, 2022)
○ 멘토 멘티전(2021, 22, 23, 24)
○ 이천 국제조각 심포지움 특별전(이천 아트홀,2012,18,19)
○ 아시아 현대조각전 (2004,12,16,17,18,20)
○ 히로시마 평화 미술전( 히로시마 현립 문화관, 2004,16,17)
○ 불각의 아름다움 조각가 김종영과 그 시대(김종영 미술관, 경남 도립미술관, 2015)
○ 한국정신(강릉 시립미술관, 그림손 미술관, 2015)
○ 오마주 화이트(호감갤러리, 2013,14)
○ 오마주 환기(환기 미술관, 2014)
○ Metal Work Today(김종영 미술관, 2014)
○ 2013 한중 조소 교류전(중국 청도시, 2013)
○ 세계 문화유산 교류 프로젝트(수원 화성 박물관, 2013)
○ 삼성 나노시티 야외 조각전(삼성 전자 기흥 캠퍼스, 2013)
○ 창원국제 조각비엔날레(창원시, 2012)
○ 서울미술대전(서울시립미술관, 2010)
○ 2010 福祿壽 국제 비엔날레 (대만, 2010)
○ Floating Petal(신세계 미술관, 2010)
○ 김종영조각상 역대 수상작가전(김종영 미술관, 2009)
○ Nature Borne( Singapore, Botanic Gardens, 2009)
○ 경계전(광주시립미술관, 2009)
○ “봄날은 간다“전(광주시립미술관,2008)
○ 이천 국제 조각 심포지움 (이천시, 2008)
○ Pure Mass전 (서울시청 광장, 2007)
○ 경기도 미술관 기획초대 “공간을 치다” (경기도 미술관, 2007)
○ 북경아트페어 (베이징, 중국, 2006)
○ 모란을 거쳐 간 사람들 (모란미술관, 2005)
○ KACF전 (예술의 전당, 2005)
○ 한국미술의 새로운 흐름전 (모란갤러리, 2005)
○ Seoul contemporary Art in Rome (로마, 이탈리아, 2004)
○ A window to Korea (상하이, 중국, 2004)
○ 한국현대조각 초대전 (춘천MBC)
○ 한국의 조각-세계의 조각 (모란미술관, 한국, 2000)
○ ‘열림과 상생, 그리고 평화를 향한 통로에서’ - 통일 염원전 (도라산 국제역사, 2003)
○ 한국현대미술90년대의 정황전 (앨랜 킴 머피 갤러리,1999)
○ 한국현대미술의 전망과 기대 (공평아트센터, 2002 )
○ 나주국제미술제 (나주, 한국, 1999)
○ Sculpture on the Wall (갤러리 사이,1998)
○ 로고스 파토스전 ( 관훈미술관, 1994, 1995)
○ 교과서 미술전 (예술의 전당, 1997)
○ SIAF 특별전 (무역센터 전시장, 1996)
○ 젊은 모색전 (과천 국립 현대미술관, 1994)
○ 부산야외조각대전 초대작가전 (부산올림픽 공원)
○ 한국 지성의 표상전 (공평아트 센터, 1995)
○ 한국 현대미술 신세대의 흐름전 (문예진흥원, 1994)
○ 한국미술2000년대의 주역들 (운현궁 미술회관, 1994)
○ 새로운 지평 - 9인의 조각 (갤러리 미건, 1994)
○ 평론가가 선정한 유망작가-이 작가를 주목한다 (동아 갤러리, 1994)
○ 낙우조각회전
○ 서울조각회전 외 다수
수상
중앙미술대전 조각부문 최우수상 (호암갤러리, 1992)
모란미술대상(모란미술관, 1995)
토탈미술상 (토탈미술관, 1997)
김종영조각상 (우성 김종영 기념사업회, 1998)
국가보훈처 표창
현재
동국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 조소전공 교수
SELECTED WORK
INSTALLATION VIEW
Preparing for the exhibition.